귀기형, 수술 없이 교정될 수 있나요?
오세준 부산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귀는 머리에서 돌출되어 있고 3차원적으로 복잡한 구조이며, 귀기형은 주변의 시선을 끌기 쉽고 학동기 시 정서발달 장애요인이 될 수 있는 만큼 귀모양의 중요성은 높다. 심한 귀기형은 학령기 때 수술을 고려하나 경도 기형은 대부분 그대로 지닌 채 살아가게 된다. 하지만 선천성 귀기형에서 일부 환자에서는 조기에 교정을 시행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귀교정의 필요성
귀기형의 유병률은 출생아의 약 55~58%로 보고되며, 생후 1개월째 약 32%에서 자연 회복되나, 돌출귀는 오히려 48% 증가한다. 생후 1년째에도 15~40% 정도는 기형이 지속되며, 돌출귀는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돌출귀는 회복 가능성이 낮으며, 다른 형태의 기형 또한 3명 중 2명은 생후 1개월 내에는 회복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연 회복만을 기다린다면 비수술적 귀교정의 최적 시기를 놓쳐버릴 수 있고, 추후 수술을 하더라도 수술 후 변형의 지속이 귀교정보다 6배 높으므로, 미용적, 비용, 수술의 위험요인을 감안해서 비수술적 귀교정을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비수술적 귀교정은 어떤 경우에 시행할 수 있나?
비수술적 귀교정은 생후 초기에 교정될 만한 충분한 연골과 피부가 존재하는
심하지 않은 기형을 가진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 귀연골의 유연성이 높은
시기인 생후 2주 이내 시작하여 3개월까지 완료하는 것을 권유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교정 성공률이 저하되고 교정기간이 길어진다. 다만, 출생 초기 귀기형이 회복될 수도 있어 출생 후 24시간에서 최대 1주일까지 기다려 보고 시작하기를 권유한다.
귀교정 대상은 일반적으로 피부나 연골의 결손 없이 완전히 발달되었지만 귀의 일부분이 비정상적인 모양을 가진 기형으로, 돌출귀prominent ear), 늘어진 귀(lop ear), 컵 귀(cup ear), 스탈씨귀(Stahl’s ear), 이륜 기형(helical rim deformity), 심하지 않은 수축귀(constricted ear), 함몰이(cryptotia)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귀교정 대상은 일반적으로 피부나 연골의 결손 없이 완전히 발달되었지만 귀의 일부분이 비정상적인 모양을 가진 기형으로, 돌출귀prominent ear), 늘어진 귀(lop ear), 컵 귀(cup ear), 스탈씨귀(Stahl’s ear), 이륜 기형(helical rim deformity), 심하지 않은 수축귀(constricted ear), 함몰이(cryptotia)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아래 그림은 귀교정이 주로 많이 적용되는 귀기형의 예이다.

귀교정기의 효과



귀교정 시작 시기의 중요성
선천성 귀기형의 유병률은 50% 이상으로 보고되며, 이 중 절반에서 2/3 정도에서는 자연 회복되나 그렇지 않다면 영구적인 귀변형을 가질 수 있다. 심하지 않은 선천성 귀기형은 귀연골의 생후 초기 높은 유연성의 특징을 이용하여 4~6주간의 교정기 착용을 통해 정상적인 모양을 80~90%에서 달성할 수 있다. 다만 가능한 생후 초기, 늦어도 2개월 이내 교정을 해야 하는데, 안타깝게도 많은 수에서 이 시기를 지나서 치료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저출산 시대에 출생아의 귀모양에 대한 관심은 점차 커질 수 있으며, 외래에 그런 환자가 방문하였을 때 적절한 조언 또는 교정을 시행할 수 있다면 환자에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자문교수
오세준
부산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 진료과목
- 중이염, 어지럼증, 이명, 귀성형, 난청, 소아이비인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