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면 날씨가 추워지면서 독감 같은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쉬워집니다.
특히 독감은 전염성이 강하고 심하면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백신 접종으로 독감을 예방할 수 있지만, 완전히 막기는 어렵습니다.
독감이 의심될 때는 빠른 진료와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치료제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건강한 겨울을 위해 독감 치료제 사용 시 알아두어야 할 점들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독감, 어떤 질환인가요?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기침이나 재채기 같은 비말을 통해 전파됩니다. 감염 후 1~4일의 잠복기를 거쳐 38도 이상의 갑작스러운 고열, 두통, 근육통, 기침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특히 고령층, 어린이, 임신부, 만성질환자는 합병증 위험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독감, 감기와 어떻게 다를까요?
감기와 독감은 혼동하기 쉽지만 서로 다른 질환입니다. 감기는 계절에 상관없이 발생하며, 리노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고 1~2주 내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독감은 주로 겨울에서 봄 사이에 유행하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갑작스러운 고열과 근육통 같은 심한 전신 증상이 동반되며, 자연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예방 접종과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독감 치료에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 먹는 약으로 오셀타미비르 성분 및 발록사비르 성분 제제가 있습니다. 오셀타미비르는 생후 2주 이상 신생아(수태 후 36주 미만 제외)를 포함한 소아와 성인의 인플루엔자 A, B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및 1세 이상 소아와 성인의 예방에 사용합니다. 발록사비르는 1세 이상 소아와 성인의 인플루엔자 A, B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합니다.
- 흡입하는 약으로 자나미비르 성분 제제가 있습니다. 7세 이상 소아 및 성인의 인플루엔자 A, B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합니다.
- 주사하는 약으로 페라미비르 성분 제제가 있습니다. 2세 이상 소아 및 성인의 인플루엔자 A, B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에 사용합니다.
독감 치료제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 초기 증상 발현 48시간 이내에 투여해야 바이러스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 예방의 일차요법은 백신요법이므로 독감 치료제는 백신 대신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오셀타미비르(먹는 약)와 자나미비르(흡입하는 약)는 치료를 위해서는 1일 2회 5일간 투여하고, 예방을 위해서는 1일 1회 10일간 투여합니다.
- 임의로 중단하지 말고 처방일수만큼 계속 투여합니다. 증상이 나아졌다고 약을 중단하면 바이러스 내성이 생길 가능성이 커집니다.
- 발록사비르(먹는 약)와 페라미비르(주사)는 한 번 투여합니다.
- 독감 치료제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해열진통제(이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와 함께 복용할 수 있습니다.
- 독감 치료제를 투약하고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다시 의료진의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소아, 청소년에게 사용할 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나요?
독감 치료제를 투여받은 환자 중 특히 소아·청소년 환자에게서 경련, 섬망(과다 행동, 환각, 초조함, 떨림 등이 나타나는 상태)과 같은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추락 등 사고로 이어진 사례도 보고된 바가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증상이 약물 때문인지 확인되지 않았고, 약을 투여하지 않았던 환자 중에서도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호자는 치료제 투여와 관계없이 창문, 베란다, 현관문 등을 꼭 잠그고 환자가 혼자 있지 않도록 적어도 이틀간 함께하면서 이상행동을 보이는지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독감 치료제는 초기 증상 발현 후 빠르게 복용해야 효과가 크며, 예방접종과 병행할 때 독감 관리에 더 효과적입니다.
특히, 소아·청소년 환자에게는 보호자의 세심한 관찰과 관리가 필수입니다.
적절한 예방과 치료로 건강한 겨울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참고문헌
· 질병관리청. 인플루엔자. 국가건강정보포털.
· 식품의약품안전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치료제 안전사용 길라잡이. 리플릿
· 식품의약품안전처. 독감치료제 처방·투여 시 주의사항. 의약품 안전성 서한(2023.12.6.)
· 이진서. 독감의 치료와 예방. J Korean Med Assoc. 2018; 61(1):4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