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병원
생명사랑 2025. 신년호
VOL.257
우리가족 건강 지킴이

약물 너머의 희망,
소아 뇌전증 환자를 위한
: 케톤식

이경아 부산대학교병원 영양사
체중조절식으로 유명한 케톤식! 사실은 치료식이에요.

체중조절을 고민해 보신 분이라면 삼겹살 같은 기름진 음식을 맘껏 먹을 수 있는 ‘저탄고지 식사’부터 많은 연예인들이 성공했다고 해서 핫해진 ‘키토제닉 식단(케톤식)’에 대해 한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케톤식은 192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식이요법입니다.
지방 비율이 높은 식사를 통해 간질경련을 억제하며,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소아 뇌전증 환자에게 시도할 수 있는 치료 방법입니다.

케톤식의 핵심은 '저탄수화물'이 아니라 '케톤체' 생성입니다.

케톤식은 지방을 매우 많이 먹는 대신 탄수화물을 거의 먹지 않는다 싶을 정도로 줄여서 먹는 식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권장 하는 균형식은 지방을 15~30%, 탄수화물은 55~65%로 먹는 것인데, 케톤식은 지방 70% 이상, 탄수화물 5~10%이니 일반 적인 식사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이는 체내에서 지방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합니다. 탄수화물 섭취가 제한되면 신체는 지방을 분해하여 케톤체를 생성하게 되고, 이 케톤체가 뇌전증 발작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병원에서의 케톤식은 어떻게 시작하나요?

케톤식은 의료진의 관리하에 진행되어야 하므로 처음에는 입원하여 시작합니다.
검사 및 준비 : 여러 가지 검사를 진행하고 필요시 금식을 진행
식이 도입 : 케톤식은 섭취량을 1/3부터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증량
모니터링 : 혈당, 케톤 수치, 식이 적응도 및 영양 상태 지속적 관찰

특별한 치료식 '케톤식'의 behind story!

케톤식 제공을 위해서는 환아의 영양상태 평가 및 영양소 구성 비율 계획, 알레르기 사항 및 식품군이 고르게 반영된 메뉴 구성, 케톤식 식단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매 끼니 식재료량 산출, 전자저울을 이용한 식재료 무게 측정 및 정확한 레시피를 준수한 조리 등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영양팀의 많은 노력과 애씀이 필요합니다.

케톤식 섭취 시 가장 중요한 점은!!

제공된 식사를 모두 섭취하여 식사의 영양소 구성 비율을 유지 하고, 식품에 함유된 당분뿐만 아니라 약물, 치약 등 일상용품에 포함된 당분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케톤식을 진행하는 아이와 부모들의 어려움을 잘 알기에 성공적인 식이요법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고민을 하게 되며, 퇴원 후에도 부모님이 과학적이면서도 좀 더 쉽게 케톤식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을 꼼꼼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케토니아
케톤식을 하는 아이를 위한 특수 영양식품. 케톤 생성 비율이 4:1로 맞춰진 액상 제품으로 아이가 배고픈 경우, 이동·여행 중 개봉하여 바로 섭취 가능합니다.

적응도를 높이는 PNUH 다양한 케톤식

믹서기로 식재료를 모두 혼합한 형태

  • 케톤식을 처음 시작하는 경우 환아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식재료를 충분히 갈기 때문에 식사의 비율 유지가 가능하므로, 한 번에 섭취하기 힘든 경우 두 번에 걸쳐 나누어 먹일 수 있습니다.
케토 치킨수프
케토 검은콩수프

일부 식재료만 혼합하거나 모두 구분한 형태

  • 음식을 씹고 삼키는 능력이 좋은 아이에게 제공합니다.
  • 음식의 형태가 보이므로 식감을 살릴 수 있습니다.
  • 한번 준비된 식사는 가급적 30분 이내 전부 섭취해야 하며, 선호하는 식품만 먹고 지방 급원이 되는 기름류(주로 올리브유)를 먹지 않는다면 식사 내 비율이 유지되지 못합니다.
케토 두부샌드
케토 햄야채계란찜
케토 크림새우
케토 실곤약잡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