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병원
생명사랑 2025. 봄호
VOL.258
의료특집⑤

석면 관련 질환 예방

이은수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 부산의료특집①
  • 부산의료특집②
  • 부산의료특집③
  • 양산의료특집④
  • 양산의료특집⑤
  • 한방의료특집⑥
  • 치과의료특집⑦
석면이란 무엇인가요?

석면(Asbestos)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규산염 광물로, 작고 미세한 섬유 형태를 가지고 있다. 내열성, 절연성, 내화성이 뛰어나고 값이 저렴한 특성 때문에 1970년대~1990년대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대표적인 종류로는 백석면, 청석면, 갈석면 등이 있다. 과거에는 건축 자재(슬레 이트 지붕, 단열재, 방화문), 자동차 부품(브레이크 패드, 클러치), 방직 제품, 전기 절연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었으나, 건강 위험성이 확인되면서 현재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이 금지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이후부터 석면 사용이 거의 감소하여 2009년에는 석면과 석면함유제품의 사용·제조·유통·수입이 전면 금지되었다.

석면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석면은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석면 입자를 호흡기로 흡입하면 폐와 관련된 여러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건강 영향은 단기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노출 후 수십 년(10~40년)의 잠복기를 거쳐 질병이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석면 관련 질환은 폐암, 악성중피종, 석면폐증 등이 있으며, 특히 흡연자가 석면에 노출되면 폐암 발생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 악성중피종은 흉막(폐를 둘러싸는 막)이나 복막(복부를 둘러싸는 막)에서 발생하는 희귀하고 치명적인 암으로, 최근 연구에서는 전체 악성중피종으로 인한 사망의 90% 이상이 직업적 석면 노출 때문이라고 알려졌다. 석면폐증은 석면 섬유가 폐 조직에 축적되어 염증과 섬유화를 유발하는 질환으로 호흡 곤란, 만성 기침, 흉통이 주요 증상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폐 기능이 점차 악화된다.

석면 노출 경로와 위험성

석면 노출은 주로 공기 중에 떠다니는 석면 섬유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직업적으로 석면을 취급한 경우 장기간 고농도의 석면에 노출될 수 있으며, 석면 광산, 석면 방직공장과 같은 석면 함유제품 생산, 오래된 건물 철거작업, 석면이 포함된 단열재를 사용한 경우 등은 대표적인 석면 노출 위험이 높은 작업들이다. 또한 직업적으로 석면을 취급하지 않더라도 석면 광산이나 석면 공장, 수리조선소 인근의 주민들에게는 공기 중으로 석면 분진이 전파되어 간접노출 될 수 있다. 석면 노출량에 비례하여 석면관련질환의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저농도의 석면이라도 장기간 노출될 경우 석면 관련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석면 노출과 석면 관련 질환 예방

석면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 석면이 포함된 건축물을 철거하거나 개보수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하며 작업 중에는 석면 방지 마스크와 전용 보호복을 착용해야 한다. 또한 석면에 노출된 적이 있거나 의심되는 경우, 조기에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석면 건강검진은 1차적으로 흉부 X-ray로 감별하며, 1차 검사에서 의심되는 소견이 발견될 경우 폐기능 검사와 흉부 고해상도 CT를 시행한다. 석면 노출력이 있는 사람은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아야 하며, 특히 만성 기침, 호흡 곤란, 가슴 통증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전문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

문의: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석면환경보건센터 055-360-377 0~3

자문교수
이은수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이은수 교수 사진
진료과목
직업환경의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