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치과 치료 계획을 위해 꼭 필요한 방사선 촬영

환자들의 정확한 치과 진료와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 영상 치의학과에서는 다양한 방사선 장비를 구비하고 있다. 다양한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구강, 악골 및 안면부 영역에 발생하는 각종 질환을 진단하며, 주로 기본적인 영상 촬영인 파노라마 촬영과 악관절 질환의 진단을 위한 파노라마 TMJ 방사선 촬영, 콘빔전산화단층장치(콘빔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가 촬영되고 있다.
파노라마 방사선 촬영술은 상·하악골 및 안면 구조를 연속된 한장의 방사선 영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단층촬영술 일부분이다. 구내 방사선 촬영을 할 수 없는 무치악 환자나 개구가 불가능한 환자에게 시행할 수 있고, 집단검사가 쉬우며, 환자의 상담과 교육을 위한 시각적인 보조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은 제3대구치(사랑니)와 상·하악골의 광범위한 병소의 평가, 치아 및 치아 주위 조직의 전반적인 평가, 외상에 의한 악안면 골절의 평가, 치아 발육 과정의 평가, 혼합치열의 분석, 상악동의 평가, 측두하악 관절의 평가, 치아 및 악골의 발육이상 평가 등에 이용한다.
최근 방사선 장비들이 디지털화되면서, 턱관절을 평가하기 위해 경두개 방사선 사진 대신 파노라마 TMJ 방사선 사진이 쓰이고 있다. 기존의 파노라마 방사선 촬영기는 X선 속이 하악과두의 장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조사되는 데 비해, 파노라마 TMJ 방사선 촬영술에서는 X선 속이 하악과두 장축 방향으로 조사되어서, 하악과두의 전단 면상을 촬영하거나 경두개 방사선 촬영술과 같은 하악과두의 운동 양상을 보여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측 측두하악관절 부위를 폐구 상태(입을 다문 상태)와 최대 개구 상태(입을 최대로 벌린 상태)로 나누어 4회 촬영하거나 1인치(2.54cm) 블록을 입에 문 개구 상태를 추가하여 6회 촬영한다. 파노라마 TMJ 방사선 사진은 개구 및 폐구 상태에서 턱관절(과두-관절와)의 위치 관계 평가와 전후로 펼쳐진 하악과두의 골변화를 보여 줄 수 있다.

구강악안면 영역에서는 해부학적 특성 파악과 질환의 평가를 위하여 3차원 정보가 유용한 경우가 많은데,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콘빔전산화단층 장치는 3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콘빔 CT는 높은 공간 해상도의 영상과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다양한 다면 재구성 영상과 3차원 영상 재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수술 전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 및 수술 시뮬레이션, 수술 중 내비게이션, 수술 후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콘빔 CT 검사는 복잡 근관치료 증례에서 치료의 진행과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있는 증례에서 다근치의 치근 형태 및 골손실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단면 영상이 필요한 임플란트 식립 시, 측두하악관절(TMJ) 평가에 있어 진단학적 가치를 가진다고 평가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매복치 및 제3대 구치(사랑니)의 발거 시 일반 방사선 영상에서 매복치에 의한 인접 치아의 치근흡수 및 제3대구치의 하악관 침범을 의심할 만한 증거가 있는 경우에 콘빔 CT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더불어 골격 이상을 동반한 복잡한 상황, 악교정수술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안면골 및 악골 골절의 상황에서 연조직 병소에 대한 평가가 요구되지 않은 경우와 치아 외상에 의한 치근 파절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일반 방사선 영상의 정보가 부족할 때 콘빔 CT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악골낭과 종양에 대한 평가 시연조직 침범 여부 및 연조직 병소에 대한 평가가 요구되지 않은 경우 일반 CT 검사를 대신하여 콘빔 CT 검사가 시행될 수 있다.


- 진료과목
- 구강악안면질환, 턱관절, 임플란트의 영상 진단
진료일정 | 구분 | 월 | 화 | 수 | 목 | 금 |
---|---|---|---|---|---|---|
오전 | ||||||
오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