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병원
생명사랑 2022. 봄
VOL.246
의료특집⑥

암환자에게 한의암치료가 필요한 이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며

박소정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내과 교수
  • 부산의료특집①
  • 부산의료특집②
  • 부산의료특집③
  • 양산의료특집④
  • 양산의료특집⑤
  • 한방의료특집⑥
  • 치과의료특집⑦
암환자 코로나-19 사망률 일반인보다 12배

45년의 역사를 지닌 유럽종양학회(ESMO, 2021.9.)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에 있어서 암이 매우 중요한 위험인자라고 발표되었으며, 스위스 국가 레지스트리 분석에서도 암환자의 사망률이 일반인과 비교하여 5~12배 높다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주변에 코로나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암 환자들은 높아진 불안감 속에서 더 엄격하고 제한된 생활을 감내하고 있다.

암세포 치료에 동반되는 환자의 불안감과 고통

닉슨 미국 대통령이 암과의 전쟁(1971년)을 선언한 이후 조기암의 진단법, 수술 및 항암제의 발전에 힘입어 5년 생존율이 많이 높아졌지만, 환자들이 체감하는 3기 이상의 암환자의 생존율은 만족할 만큼 개선되지 못하였다. 수술, 항암, 방사선 치료와 같은 현대의학의 표준치료는 양날의 칼처럼 효과와 부작용을 함께 갖고 있다. 초기 암치료가 암 자체의 축소 및 제거에 큰 효과를 발휘하지만, 이와 동시에 종양 미세환경에 영향을 주어 암의 재발이나 전이를 촉진하는 한계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환자는 반복적인 표준치료로 약물 내성의 위험성과 부작용의 누적으로 신체적 고통과 함께 영적, 사회적, 경제적 고통을 겪게 된다.

현대 표준 암치료의 한계를 극복하는 통합암치료

이러한 현대 표준치료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운 통합 암치료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통합암치료의 핵심은 기존의 ‘암’을 중심으로 하는 치료를 ‘암환자’를 중심으로 하는 다학제 치료법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즉, 암이 사라져도 환자의 생명연장과 삶의 질이 개선되지 않는 것은 암(씨앗)이 자라는 토양이 되는 환자의 몸이 망가지기 때문이다. 그 중, 환자의 몸의 미세염증과 면역 환경의 변화는 암을 키우거나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다학제적 접근으로 암 미세환경을(Tumor microenvironment)개선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통합암치료의 핵심이 되는 ‘한의암치료’

최근 저명한 국제 학술지에는, 한의암치료와 현대 표준치료를 동시에 적용하여 항암 효과는 올리고 부작용은 줄여, 생존 기간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였다는 임상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효과는 한의암치료가 암미세환경을 개선하고, 몸의 면역력을 높이며, 항산화 작용을 강화한 결과로 밝혀졌다.
(癌)은 한의학에 적취(積聚)나 옹저(癰疽)로 분류되어, 공보겸시(攻補兼施) --암을 제거하는 공격(攻法)과 몸의 기능을 보전하고 도와주는(補法) 치료법을 반드시 함께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는, 공격적으로 암세포를 제거하는 치료만을 사용하면 잔여 암세포에 유리하게 종양 미세환경이 바뀌거나 면역력이 저하되는 등 부작용이 생기는 것을 한의학이 이미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한의암치료와 우리 몸의 면역계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코로나-19의 대유행 상황에서 개개인의 면역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암환자는 암을 치료하는 기간과 함께 치료 완료 후에도 저하된 면역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한의 암치료가 내 몸의 면역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많은 임상연구를 거쳐 이제 일반적인 상식이 되었고, 한의 치료는 치료가 누적될수록 부작용이 적으며 면역기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합암치료는 선택이 아닌 필수

암치료에 있어서 정답은 아직 없으며, 어떤 치료든 효과와 한계가 있을 뿐이다. 암 환자에게 의학과 한의학의 장단점을 보완하는 통합암치료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새로운 통합치료에는 오랜 임상 경험과 최신 임상 연구, 분야별 전문 의료진과의 소통과 협력이 필수이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진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자문교수
박소정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내과 교수
박소정 교수 사진
진료과목
폐암, 폐전이암, 소화기계종양, 갑상선암,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
박소정 교수 진료일정
진료일정 구분
오전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