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병원
생명사랑 2022. 가을
VOL.248
의료특집⑥

입안이 헐었나요? 구내염 바로 알기!

정성희 부산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 교수
  • 부산의료특집①
  • 부산의료특집②
  • 부산의료특집③
  • 양산의료특집④
  • 한방의료특집⑤
  • 치과의료특집⑥

“입안이 헐어서 아파요.”라는 불편감으로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가 상당히 많다. 이처럼 입안에 생기는 상처들은 정확하게 진단이 내려지기 전에는 통칭 ‘구내염’이라고 불린다. 구내염에는 1~2주 이내에 저절로 사라지는 것부터 평생을 지속하는 것까지 다양하며, 그 원인 또한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것부터 면역, 감염, 손상 등 매우 다양 하다. 원인이 ‘손상’인 경우는 대부분 환자가 원인을 기억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는 보통 원인이 없어지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저절로 낫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처음보다 점점 좋아지면서 통증이 줄어들기 시작하여 1~2주 이내에 사라진다면 굳이 병원에 가지 않아도 된다.

원인이 ‘감염’인 경우는 대부분이 구강 내의 세균이나 곰팡이에 의한 경우가 많다. 보통 구강 내 세균이나 곰팡이의 수가 갑자기 늘어나거나, 점막 조직이 어떤 이유에 의해 손상을 받은 이후 세균이 침투한 다음 발생한다. 구강 내 세균의 수는 거의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세균수가 많아진 경우는 며칠 동안 양치질을 하지 못하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우리 몸의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겨서 방어가 잘되지 않아 발생하기도 한다. 세균 감염에 의한 구내염은 병소 주위의 통증이 심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병원으로 빨리 가서 치료받아야 한다.

원인이 ‘면역 이상’인 경우 발생하는 구내염은 굉장히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는 단순한 점막 면역체계의 이상이거나, 전신적인 면역체계의 이상인지에 따라 결정되고, 우리 몸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 면역체계에 적응하는지에 따라서, 같은 질환이라도 환자 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전신적인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도 몸에 이상을 느끼기 전에 구내염이 먼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구내염이 계속 같은 자리에 있으면서 좋아졌다가 나빠졌다가 반복하는 가장 흔한 병소는, 국소적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구강편평태선’이 제일 많이 발견된다. 그러나 전형적인 병소의 모양이 아니라면 눈으로 보고 진단을 내리기는 들고 조직검사를 통한 확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치료하지 않고 오래 두면 ‘구강암’으로 진행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만약 같은 자리에서 계속 재발 하고 2주 이상 지속되는 병소가 있다면 지체하지 말고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여기저기 다발적으로 생기는 구내염의 경우 바이러스, 곰팡이, 박테리아에 대한 검사를 진행한다. 구강 안에는 일정 수준의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적지 않게 서식하고 있어 점막이 손상되면 이런 미생물이 침투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정상적인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다면 침투된 미생물이 더 큰 문제를 일으키기 전에 차단되므로 병소 회복에 큰 지장이 없다. 그러나 면역에 이상이 있거나, 구강 내 박테리아나 곰팡이 수가 증식한 상황이라면 구내염이 잘 낫지 않고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인 면역 상태에 대한 검사 또한 꼭 필요하다.

모든 구내염 치료는 청결에서 시작된다. 진단 종류와 상관없이 구강 내 미생물을 줄일 수 있다면 구내염 치료는 빨라진다. 구강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양치질이다. 치아 표면에 붙어 있는 플라크는 이틀가량 방치하면 칫솔질을 해도 잘 안 떨어진다. 그러면 표면에 붙은 세균 수가 더 늘어나 구내염 주위로 2차 감염이 생겼다가 다시 나빠질 수 있다

염증으로 인해 통증이 있더라도 양치질은 계속해야 한다. 구강청결제도 도움이 되나 장기간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우려돼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약국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도포용 스테로이드 연고는 외상성 구내염에 효과적이지만, 바이러스성 구내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꺼번에 여러 군데 생긴 구내염에는 바르지 않는 게 좋다.

자문교수
정성희 부산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 교수
정성희 교수 사진
진료과목
구강안면통증, 구강연조직질환, 구취치료
정성희 교수 진료일정
진료일정 구분
오전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