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맹출장애, 주기적인 치과검진을 통한 조기진단이 중요하다

유치열이 혼합치열기를 거쳐 영구치열로 교환되는 소아·청소년기에서는 맹출장애를 흔히 관찰할 수 있다. 맹출장애의 한 형태인 매복치는 일정한 맹출 시기가 지나도 치아가 구강내에 노출되지 않는 치아를 의미하며, 치아의 형태, 위치, 방향, 맹출 공간 등을 고려할 때 자발적으로 맹출되지 않을 것이라 예상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치아가 정상 시기에 정상적인 순서로 맹출하지 않으면 인접 치아가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부정교합이 발생할 수 있다. 인접 치아의 위치가 변화되거나, 뿌리가 흡수되는 경우도 있으며, 낭종, 감염 및 통증 등을 유발 할 수 있다.
맹출 공간 부족, 맹출 경로상의 물리적 장애물, 위치 이상, 치아 주변 조직의 결함 등이 있으며, 외상 및 수술 병력, 선천성 질환, 내분비 대사 장애 등도 매복을 유발 할 수 있다.




왼쪽과 오른쪽의 대칭 여부, 맹출된 영구치의 순서 및 개수, 치아의 위치등을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같은 종류의 치아는 대칭적으로 맹출하는데, 한쪽만 맹출되고 다른쪽이 오랫동안 맹출 되지않았거나 유치가 정상적인 탈락 시기를 지나 오랜 기간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방사선 사진 촬영이 필요하다. 정밀검사를 위해 치과용단층촬영(CBCT)이 필요할 수 있다.
혼합치열기 어린이에서는 위턱 송곳니, 작은 어금니, 위턱 앞니 순으로 빈번하게 발생한다.


매복치아의 치료방법은 발생 원인, 치아의 발육 정도, 매복된 위치, 환자의 협조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빠지지 않고 있는 유치, 치아종, 과잉치, 낭종등과 같은 물리적 장애물이 있다면 이를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하며, 치아가 날 자리가 부족할 경우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교정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원인 요소를 제거한 후 자연적인 맹출이 일어나는지를 일정 기간 관찰할 수 있으며, 맹출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 매복치아를 노출시킨 후 장치를 부착하고 교정 장치와 연결 하여 구강 내로 끌어내는 치료를 하게된다. 매복치를 외과적으로 재위치 또는 이식하는 경우도 있으며, 환자의 협조도나 예후를 고려하여 매복치를 제거하거나, 치료를 하지 않는 것도 옵션이 될 수 있다.

영구치가 맹출하는 시기에는 주기적인 치과검진을 통해 맹출장애 여부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전문가와 상의하여 정밀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일정한 맹출 시기가 지나도 치아가 구강 내에 노출되지 않는 치아를 의미하며, 치아의 형태, 위치, 방향, 맹출 공간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 ❶ 치아가 나올 공간 부족
- ❷ 유치가 제때에 탈락하지 못한 경우
- ❸ 과잉치 등이 맹출을 방해하는 경우
- ❹ 치아 싹의 위치나 방향이 잘못된 경우
- 장애물 제거
- 공간확보: 발치 또는 확장
- 수술을 통한 매복치의 노출
- 교정치료를 통한 맹출 유도

- 진료과목
- 치아우식증 예방 및 치료, 소아교정, 전신마취 치과치료
진료일정 | 구분 | 월 | 화 | 수 | 목 | 금 |
---|---|---|---|---|---|---|
오전 | ||||||
오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