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병원
생명사랑 2024. 여름호
VOL.255
의료특집⑥

만성 소화불량, 원인과 해결 방법

김소연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내과 교수
  • 부산의료특집①
  • 부산의료특집②
  • 부산의료특집③
  • 양산의료특집④
  • 양산의료특집⑤
  • 한방의료특집⑥
  • 치과의료특집⑦

소화불량은 식사와 관계없이 소화가 안 되는 듯 배가 불편한 증상으로 정의된다. 식사 후 더부룩하거나 트림이 자주 나오는 증상이 가장 흔하며, 심한 경우 꽉 막힌 듯 아프고 가슴까지 답답해지기도 한다. 과식하거나 기름진 음식을 먹으면 누구나 잠시 겪을 수 있는 흔한 증상이지만,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소화 불량의 경우 식사량과 체중이 줄면서 일상 생활까지 힘들어 지는 경우도 있다.

소화불량이 만성으로 지속되는 원인은 뭘까? 소화는 입안에서 시작되어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과 대장을 통과하며 음식물이 분해된 후 영양분은 흡수하고 노폐물은 배설하는 과정이다. 까다롭게 가려서 몸에 좋은 것만 먹는다고 해도 이물질에 해당하는 음식물을 내 몸으로 받아들여 필요한 것은 취하고 해롭거나 불필요한 것은 제거하는 것이기에 소화 기관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으며 작동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고, 복합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의학에서는 소화와 관련하여 오장육부(五臟六腑) 중 비위(脾胃)의 기능을 가장 중요시했는데, 비장은 해부학적인 장기 중 하나라기보다 소화 기능계의 총사령관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비장과 위장을 합쳐서 비위라고 하는데, 흔히 음식을 많이 가리는 사람에게 ‘비위가 약하다’고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래한다. 실제로 소화 기능이 떨어지면 비위가 약해지게 된다.

만성 소화불량으로 위내시경 등 기본 검사를 받았으나 이상이 없고, 다른 질환이나 약물로 인한 것도 아니면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진단될 수 있다. 말 그대로 장기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는 없지만 기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앞서 기술했듯이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나 운동성 문제가 가장 많다. 위장 운동 기능이 떨어진 환자분들 중 체하면 위장이 멈춰서 움직이지 않는 것 같다고 말씀하시는 경우가 있고, 식사 후 시간이 한참 지나서도 음식이 그대로 머물러 배고픔을 못 느끼기도 한다.

소화불량 환자에게 처방되는 위장운동촉진제 중 ‘모티리톤(Motilitone)’은 한약재로 쓰이는 현호색과 견우자의 복합추출물로 한의사는 처방할 수 없는 천연물 의약품이다. 대신 한의에서는 소화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가루나 시럽 형태의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한약제제를 처방받을 수 있다. 증상이 심한 환자들의 경우 개인별 맞춤 탕약 치료를 통해 효과를 보는 경우가 많은데, 비용 부담의 문제가 있었으나 첩약 건강보험 사업 대상 질환으로 선정되면서 부산대학교한방병원 등 참여 기관에서 일부 보험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약 복용이 어려운 환자들의 경우 침·뜸 치료만으로도 위장 운동성을 향상할 수 있다. 기능성 소화불량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에서는 연구 근거에 따라 위장운동촉진제 등의 의약품과 한약 및 침·뜸 병행치료를 권고하기도 한다.

운동성 문제 외에도 위장 감각이 예민한 원인도 있으며, 중년 이상에서는 위축성 위염으로 소화액 분비가 부족하거나 위점막의 보호 기능이 떨어져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소화 기능은 자율신경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스트레스에 취약하고, 신경 쓸 일이 있을 때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스트레스 해소도 중요하지만, 평소에 소화 기능이 원활하도록 미리 관리한다면 예방이 가능하다. 운동하기 전에 준비 운동이 중요한 것처럼, 평소 식사 시간과 식사량을 규칙적으로 하면 소화 기능이 작동될 준비가 된다. 음식에 대한 주의도 필요하다. 지방이 가장 느리게 소화되기 때문에 기름진 음식, 특히 튀김과 인스턴트 음식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 밀가루, 질기고 단단하거나 끈끈한 음식들도 분해가 쉽지 않으므로 소화 불량 증상이 있을 때는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자문교수
김소연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내과 교수
김소연 교수 사진
진료과목
기능성 소화불량증, 역류성 식도질환, 과민성 장증후군, 변비, 설사, 소화기계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