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병원
생명사랑 2022. 여름
VOL.247
진료과 탐방

부산에서 세계로,
부산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주동찬 부산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 진료과 탐방 ①
  • 진료과 탐방 ②
첫 번째 줄 왼쪽부터 우현영 교수, 허정 교수, 김광하 교수, 송근암 교수, 김동욱 교수, 이봉은 교수, 박영주 교수
두 번째 줄 왼쪽부터 홍승민 교수, 이해린 전임의, 이화진 전임의, 이하은 전임의, 전소언 전임의, 이혜영 전임의
세 번째 줄 왼쪽부터 백동훈 교수, 이문원 교수, 김태인 전임의, 한성용 교수, 최한일 전임의, 이명진 전임의, 주동찬 교수, 이종현 교수, 이기연 교수, 박정길 전임의

소화기내과는 위장관, 간, 췌담도의 각종 질환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는 진료과이다. 진료 영역은 위식도 역류 질환, 과민성대장증후군, 지방간과 같이 일반인에게 흔하게 관찰되는 양성 질환에서 부터 위암과 대장암, 간암, 췌담도암과 같은 악성 질환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질병의 종류에 따라서 상부위장관, 하부위장관, 간, 췌담도 분과로 세분화되어, 국내외에서 명성이 있는 13명의 교수진들이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고 있다.

부산대병원 소화기내과는 최고 수준의 진료를 유지하기 위해 최근의 소화기질환 연구 동향 및 최신 지견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와 해외에서 실시되는 다양한 집담회, 학회를 정기적으로 참여하여, 부산대병원의 경험을 공유함과 동시에 타병원의 경험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최고 수준의 진료를 위해 연구 동향 및 최신 지견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으며
부산대병원의 경험을 공유함과 동시에 타병원의 경험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상부위장관
김광하, 이봉은, 이문원, 주동찬 교수

조기 위암 및 조기 식도암을 포함한 상부 위장관의 여러 종양에 대한 진단 및 치료술을 시행하고 있다. 보다 정밀한 진단을 위해 확대내시경, 초음파 내시경도 활발히 운용 중이며, 특히 위암과 초음파 내시경 분야에서는 국내 외에서 높은 명성을 자랑한다. 식도 및 위장관 운동 질환의 진단을 위해 최신의 고해상도 내압검사기기, 위식도 역류질환의 진단을 위한 24시간 식도산도검사 기기를 운용중이고, 경피내시경하 위루술 및 풍선 확장술도 시행하고 있다.

하부위장관
송근암, 백동훈, 홍승민 교수

조기 대장암이나 대장 용종에 대한 내시경적 진단과 치료술, 대장암으로 인해 발생한 협착에 대한 스텐트 삽입술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궤양성 대장염이나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고 있고, 염증성 장질환의 새로운 생물학적 치료제의 개발, 궤양성대장염 환자의 관찰 전향적 장기 노출 연구 및 크론병 환자의 유전적 변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허정, 우현영, 박영주, 이기연 교수

간염에서 간세포암까지 다양한 간질환에 대한 진료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간암의 치료에서는 최신의 연구 경향을 적용한 여러 획기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세계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고가의 최신 복부 초음파 검사 기기를 도입하여 소화기내과 외래 검사실에서 운용하고 있고, 간섬유화진단장치를 통해 간경변증을 조기에 진단하고 있다. 진단과 치료 외에도 절제가 불가능한 간암환자의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임상 시험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췌담관
김동욱, 한성용, 이종현 교수

담석, 담도염, 췌장염과 같은 양성 질환에서 담도암, 췌장암과 같은 악성질환까지 다양한 췌담관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담당하고 있다. 총수담관 담석에 대한 내시경 제거술, 담관 스텐트 삽입술 등 치료 영역에서 최고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악성담도폐쇄 환자에서 초음파 내시경을 이용한 여러 스텐트 유치술들을 경상권역 최초로 시행하여 환자에게 새로운 시술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