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병원
생명사랑 2021.가을
VOL.244
진료과 탐방

전문성과 숙련된 경험으로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윤라유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 진료과 탐방 ①
  • 진료과 탐방 ②

뒷줄 왼쪽부터 손주현, 민지홍, 신용일, 이창형, 윤라유
아랫줄 왼쪽부터 허성철, 고현윤, 고성화

재활의학과는 신체적 문제나 장애를 최소화하고 남아 있는 기능을 최대한으로 회복시켜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도우며, 합병증을 예방하여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일을 하는 분야이다. 척추손상, 뇌졸중, 뇌손상, 소아, 근육병증, 근골격계 이상, 절단, 통증 환자뿐 아니라 최근에는 중환자, 호흡 및 심장 질환에 따른 심폐운동 능력의 저하 및 유관 증상 등도 다루고 있다.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는 이러한 모든 영역에서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으며, 2011년 개원한 영남권역 재활병원, 2018년 지정받은 경상남도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를 운영함으로써 장애인 재활 및 의료서비스 영역에서 우리나라 동남권의 책임의료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재활의학 분야의 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를 포함한 보건복지부의 재활정책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재활의학 전공의 수련평가에서 수차례 전국 1위를 차지하였다.



고현윤 교수

척수손상과 척추중재치료 분야의 진료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척수손상 재활분야의 대한민국 최고로 인정받아 ‘명의’로 선정된 바 있다. 2017년 척수 의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단초를 제공하는 ‘척수의학 매뉴얼’을 저술하였으며, 2019년에는 스프링거출판사에서 척수손상에 관한 전문서적인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of Spinal Cord Injuries’를 단독 저술하였다. 현재는 척수손상 평가 및 관리에 관한 내용을 다룬 핸드북을 집필 및 발간 준비 중이다

신용일 교수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인지재활 분야의 진료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헬스조선에서 선정한 뇌졸중 재활 분야의 명의로 선정된 바 있다. 경상남도 지역장애인 보건의료센터장으로 활동하면서 지역사회 장애인의 건강과 의료접근성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뇌신경조절기술 관련 다수의 굵직한 국책사업과 재활 정책연구를 수행하는 등 재활의학 분야의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이창형 교수

스포츠의학, 근골격계 통증재활, 암재활 분야의 진료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아티스트 클리닉을 운영하며 악기 연주자, 무용가들의 특징적인 근골격계 질환을 치료하고 있다. 대한체육회 태릉선수촌 의무실장, 올림픽, 아시안게임, 유니버시아드 대회 대한민국 대표팀 주치의 등을 역임한 바 있는 등 스포츠 의학 부문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김수연 교수

소아 재활, 신경 근육질환, 호흡 재활 분야의 진료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소아재활환아의 부모님들이 신뢰하는 의사로 회자되고 있다. 현재는 2021년 8월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의 UC Irvine ALS clinic에서 연수 중이다.

고성화 교수

뇌졸중, 연하 재활 분야의 진료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경직클리닉을 맡고 있다. 2018년 7월에는 원인 불명의 삼킴 장애의 원인을 규명한 논문을 세계적인 학술지 란셋(The Lancet)에 게재하였으며, 뇌질환 환자의 퇴원 후 사회복귀와 관련된 국책사업단 연구를 수행중이다.

민지홍 교수

퇴행성 뇌질환, 외상성 뇌손상, 뇌종양, 저산소성 뇌손상, 노인재활 분야의 진료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보행분석 및 근전도 전기진단검사실을 담당하고 있다. 신경과와 협업하여 파킨슨병을 포함한 퇴행성 뇌질환 분야에 대한 임상연구를 수행 중이다.

허성철 교수

척수손상 재활, 디스크 중재 시술, 중환자 이식재활 분야에서 진료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공학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활발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윤라유 교수

소아 재활, 심장 재활 분야의 진료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심장 재활평가실과 심장재활치료실을 담당하여 다양한 심장 질환 환자들의 회복에 힘쓰고 있다.

손주현 전임의

족부질환, 근골격계 손상, 신경 근육질환 분야와 관련한 초음파 검사 및 중재 시술을 중점적으로 진료와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