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 명화
세계 최고의 명화 ‘모나리자’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천재성
세계 최고의 명화는 누구의 어떤 작품일까? 대부분 이 질문에는 주저 없이 레오나르도 다빈치(1452~1519)가 그린 ‘모나리자’라고 답할 것이다. 천재 화가 다빈치는 1452년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빈치에서 사생아로 태어났다. 천재 화가 다빈치의 재능을 직업군으로 분류해보면 해부학자, 물리학자, 요리사, 군사 기술자, 생물학자, 건축가, 천문학자, 지리학자 등 그야말로 최고의 르네상스형 인물이다. 그가 밀라노 스포르차 공작에게 제출한 이력서의 끝머리에 ‘그림도 조금 그릴 줄 안다’라고 적은 것으로 보아 그림은 그의 주 관심사가 아닌 것 같다. 실제로 그가 남긴 그림은 20여 점에 불과하다. 르네상스 시대 미술평론가인 바사리는 ‘미술가 열전’에서 다빈치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우리는 이따금씩 자연이 하늘의 기운을 퍼붓듯, 한 사람에게 엄청난 재능이 내리는 것을 본다. 이처럼 감당하지 못할 초자연적인 은총이 한 사람에게 집중되어서 아름다움과 사랑스러움과 예술적 재능을 고루 갖춘 그가 만들어 내는 것들은 신이 손을 내밀어 지은 것과 같아서 도저히 인간의 손으로 만들었다고 보기 어렵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바로 그런 사람이다.” 최근에도 다빈치의 재능을 높게 평가한 대표적인 예가 있다. 과학지 ‘Nature’가 역사상 창의적인 인물을 소개하는 편에서 뉴턴과 아인슈타인을 각각 9위와 10위에 선정하고 다빈치를 1위에 선정한 바 있다.
모나리자 이야기
1503년 재력가 ‘조콘다’가 출산 후 그 자식을 잃고 슬퍼하고 있는 부인을 위로하기 위해 부인 ‘리자’의 초상화를 다빈치에게 부탁하면서 작품 ‘모나리자’ 이야기는 시작된다. 작품 속의 주인공이 하루종일 우울한 표정으로만 있어 다빈치가 하루는 광대를 대동하여 웃게 만들었는데 그 순간을 놓치지 않고 눈가에는 슬픔이 엿보이지만 입가에는 미소가 비치는 ‘모나리자’를 그려낸 것이다(그림 1). 약 0.4㎡ 크기의 작은 그림 속의 미소를 보기 위해 매년 1,000만 명이 프랑스 루브르를 찾고 있다고 한다. 작품의 경제적 가치를 따지면 약 40조 원에 이른다고 하니 작품의 크기와는 상관없이 ‘모나리자’가 세계 최고의 그림이라는 데는 별 이의가 없을 것 같다.
작품을 전문적으로 분석하면 인체의 황금비율과 스푸마토(sfumato: 피사체들의 경계선을 두지 않고 명암으로 연기처럼 사물의 경계를 묘사함) 기법의 극치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처음으로 초상화의 주인공이 정면을 응시하도록 하여 모든 관객이 주인공과 눈이 마주치도록 하는 ‘모나리자’야말로 대중과의 소통을 중요시하는 르네상스 정신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작품 ‘모나리자’가 1911년 루브르 박물관에서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여러 사람이 범인으로 의심받게 되는데 그 중 또 다른 천재 화가 피카소가 지목되는 등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지만, 도난 사건으로 ‘모나리자’는 전 세계적으로 더욱 더 유명해지게 된다. 결국 2년 뒤 루브르의 작업공 ‘빈첸초’가 범인으로 밝혀지고 작품도 되찾게 된다. 그는 ‘모나리자’를 그의 고국인 이탈리아 품으로 되돌리기 위해 범행을 저질렀다고 동기를 밝혀 이탈리아의 영웅이 되기도 하였다.

의학과 명화
작품 모나리자를 두고 몇몇 의학자들이 학술적으로 연구하여 주목을 받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의학전문지를 참고할 수 있지만 대략 ‘모나리자’에 붙여진 병명을 나열해 보면 갑상선기능저하증, 안검황색종, 지방종, 사시, 원발성담즙성간경변증, 탈모증, 안면신경마비 등 다양하다(그림 2).
각 질병의 전문가 입장에서 그림을 해석하다보니 이렇게 무례한 진단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아무리 중증의 불치병을 모나리자에게 붙이더라도 리자 부인의 미소는 영원할 것이고 작품 ‘모나리자’는 인류 최고의 보물로서 그 위치는 더욱 확고해질 것이다.
- 참고문헌
-
1. Xanthelasma and lipoma in Leinardo da Vinci's Mona Lisa. IMAJ 2004;505-506
2. Leonardo da Vinci’s Mona Lisa : Medical Differentials and Primary Biliary Cholangitis. Acta gastro-Enterologica, 2016;July-September
3. The Mona Lisa Decrypted: Allure of an Imperfect Reality. Mayo Clin Proc 2018;93(9):1325-1331
4. Did Mona Lisa suffer from postpartum thyroiditis? JEADV 2019, 33, e187–e229
5. Unraveling the asymmetry of Mona Lisa smileC. ortex. 2019;120 607-610
6. Leonardo teaching anatomy and psychology to Raffaello and Michelangelo.
Europ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37 (2017) e16–.e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