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노인 건강관리
여름철 노인 건강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다. 특히 수면과 식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더위와 열대야로 인해 수면 패턴이 깨지고 피로해지기 쉽다. 그러므로 수면 환경을 개선하고, 잠들고 깨는 시간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생체리듬이 무너지지 않도록 해야한다. 식사도 일정한 시간에 하고 무엇보다 과식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기온이 오르면 혈액순환이 체표로 몰리고 체내 장기로는 줄어들어 소화기능이 떨어진다. 이에 여름에 과식하면 위장관에 탈이 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대체로 낮 기온이 32도가 넘어갈 때는 외출이나 야외 운동을 삼가고, 밤 기온이 28도를 넘어갈 때는 냉방을 하는 것이 좋다. 외출 시에는 바람이 잘 통하면서 햇빛을 충분히 가릴 수 있는 복장을 갖추고, 땀이 많이 날 경우를 대비해 물병을 가지고 다니는 것이 좋다. 나이가 들면 탈수로 인한 갈증 반응이 줄어들기 때문에 땀이 나면 물을 수시로 마시는 것이 좋다. 그리고 물과 함께 염분과 무기질도 적절하게 섭취해야 한다. 과도한 양의 차가운 커피나 맥주는 체내 수분을 더 빼앗을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땀을 많이 흘려 탈수 증상이 있을 때는 빠른 수분 섭취를 위해 스포츠 이온음료가 도움이 된다.
여름철에는 무리한 운동을 삼가야 한다. 무더울 때는 되도록 시원한 곳에서 실내운동을 하는 것이 좋고, 야외 운동은 더위를 피해 이른 아침이나 늦은 오후에 가볍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여름에는 지나치게 찬 것을 피해야 한다. 한의학적으로 여름에는 몸 안의 따뜻한 기운(陽氣)이 위로 올라가거나 체표로 몰려 뱃속이 차가워진다. 이에 더운 여름일수록 찬 음식을 피하고, 속을 따뜻하게 데우고 기운을 북돋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 여름 더위로 땀을 흘렸을 때는 찬물 보다는 따뜻한 물로 샤워하는 것이 좋고, 배는 항상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지나치게 낮은 온도로 냉방하기보다 실내 온도는 26~28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퇴계 이황이 활인심방 에서 무더운 여름을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 강조한 것은 마음가짐이었다. 마음을 고요히 하고, 높은 소리를 내지 말고, 화를 내지 말라고 권했다. 여름은 오행 중 화(火)가 강한 계절이다. 이에 여름에 화를 내면 한의학적으로는 오장 중 화(火)에 속하는 심(心)의 기운이 손상되어 건강이 상하기 쉽다. 이에 여름에는 마음의 불길 즉 심화(心火)가 타오르지 않도록 마음을 가다듬어야 한다. 한여름 지구는 뜨겁지만, 마음은 안정시켜 얼음과 눈이 마음속에 있는 것처럼 해야 한다.

- 진료과목
- 이상운동질환, 파킨슨병에 병발한 소화기질환, 만성피로증후군, 수술후면역기능저하, 염증성장질환, 자율신경실조증, 수족냉증, 수족비증
진료일정 | 구분 | 월 | 화 | 수 | 목 | 금 |
---|---|---|---|---|---|---|
오전 | ||||||
오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