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병원
생명사랑 2021.여름
VOL.243
의료특집⑤

비만과 당뇨병, 지금 당신의 몸무게는?

이민진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 부산의료특집①
  • 부산의료특집②
  • 부산의료특집③
  • 양산의료특집④
  • 양산의료특집⑤
  • 한방의료특집⑥
  • 치과의료특집⑦

비만은 대사 증후군, 고혈압, 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만성 콩팥병과 같은 만성질환의 위험 인자이다.
또한 교정 가능한 인자이므로, 비만을 관리 하는 것은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가장 쉽지만 어려운 첫걸음이다. 비만은 체질량지수로 정의하는데, 체질량 지수는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체질량 지수가 25 이상부터 비만이라고 정의하며, 복부비만은 남자는 허리둘레 90cm(35inch) 이상, 여자는 85cm(33inch) 이상으로 정의한다. 우리나라의 비만 인구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 자료에 따르면 약 35%가 비만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비만 인구에서 약 20%, 노년층의 비만 인구에서 약 30%가 2형 당뇨병을 가지고 있었다. 반대로 국내 2형 당뇨병환자에서 절반이 비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한 사람에서 체중 감량은 2형 당뇨병의 발생을 예방할 뿐 아니라, 당뇨병의 조절과 관리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 결과에 따르면, 당뇨병 발병률을 감소시킨 주요 결정 인자는 체중감량이고 체중을 5~8%까지 줄이면 당뇨병 발병 위험이 60% 가까이 감소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비만한 당뇨병 환자에서 체중의 5% 감량은 혈당을 개선시키고, 7% 이상의 감량은 혈당뿐 아니라 혈압과 콜레스테롤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중이 언제 이렇게 늘었지?’ 외래 진료 중에 몸무게를 확인한 당뇨병 환자들이 자주 하는 말이다. 체중계를 집에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많아도, 체중을 자주 측정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은 것 같다. 그렇다면 체중 관리는 왜 중요할까?

체중 감량의 시작은 식이와 운동요법이다. 개인의 체중과 활동량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체중감량을 위해서는 하루 총 칼로리 섭취에서 500~750kcal(밥 한 공기: 300kcal) 정도를 줄여야 한다.

운동요법 단독으로 체중감량에 성공하기는 어렵다. 운동은 식이요법과 병행되어야 하며, 규칙적인 운동은 혈당 조절을 향상시키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체중 감소에 기여하게 된다. 2형 당뇨병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운동은 최대 심박수의 50~70%인 중등도 강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을 일주일에 적어도 150분 이상하되, 주 3일 이상하고 연속해서 2일 이상 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비만한 당뇨병 환자에서 체중감량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의 운동(주 200 ~ 300분)을 요구한다. 식이요법과 운동으로 체중감량을 이루지 못하였을 때, 정도에 따라 항비만약제를 고려할 수도 있고, 고도 비만에서는 대사 수술을 고려해볼 수도 있다. 이는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한 부분이다.

비만을 교정함으로써 2형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고, 2형 당뇨병 환자에서는 혈당을 개선할 수 있다. 오늘, 아니 지금 체중계에 올라가자. 체질량 지수가 25 이상이라면, 자기 체중의 5% 감소를 올해 목표로 삼아보자. 비만인 사람에 있어서 체중감량은 가장 비싼 건강을 되찾는 가장 저렴한 방법이 아닐까?

자문교수
이민진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이민진 교수 사진
진료과목
당뇨병진단과관리, 갑상선질환, 골다공증, 기타내분비계질환
이민진 교수 진료일정
진료일정 구분
오전
오후